리눅스를 운영할 때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사용자와 그룹을 관리하는 것이다. 여러 명의 사용자가 하나의 시스템을 공유하는 경우, 각 사용자에게 적절한 권한을 부여하고, 필요한 경우 그룹을 설정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렇다면 리눅스에서 사용자와 그룹을 어떻게 관리할까? 이번 글에서는 useradd와 groupadd를 활용한 사용자 및 그룹 관리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자.
리눅스에서 사용자 계정 관리하기
사용자 추가하기: useradd 명령어 사용법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명령어가 useradd다.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면 새 사용자를 생성할 수 있다.
sudo useradd 사용자이름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etc/passwd 파일에 새로운 사용자가 등록되며, 기본적으로 홈 디렉토리는 생성되지 않는다. 만약 홈 디렉토리를 자동으로 생성하려면 -m 옵션을 추가하면 된다.
sudo useradd -m 사용자이름
이렇게 하면 /home/사용자이름 디렉토리가 자동으로 생성되며, 사용자는 자신의 홈 디렉토리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 계정 정보 설정 및 수정 (usermod)
기존 사용자의 정보를 수정하려면 usermod 명령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변경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실행하면 된다.
sudo usermod -d /새로운경로 사용자이름
비밀번호 변경은 passwd 명령어를 활용하면 된다.
sudo passwd 사용자이름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사용자의 비밀번호가 변경된다.
사용자 삭제하기 (userdel)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사용자는 userdel 명령어를 사용하여 삭제할 수 있다.
sudo userdel 사용자이름
만약 홈 디렉토리까지 완전히 삭제하려면 -r 옵션을 추가한다.
sudo userdel -r 사용자이름
이렇게 하면 해당 사용자의 모든 파일이 삭제된다.
리눅스에서 그룹 관리하기
그룹 개념과 역할
리눅스에서는 파일 및 디렉토리 접근 권한을 관리하기 위해 그룹을 활용한다. 예를 들어, 특정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개발자들이 동일한 파일에 접근해야 한다면, 개별 사용자에게 권한을 설정하는 것보다 하나의 그룹을 만들어 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그룹 추가하기: groupadd 명령어 사용법
새로운 그룹을 추가하려면 groupadd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sudo groupadd 그룹이름
이렇게 하면 /etc/group 파일에 새로운 그룹이 추가된다.
그룹 삭제 및 수정하기 (groupdel, groupmod)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그룹은 groupdel 명령어로 삭제할 수 있다.
sudo groupdel 그룹이름
또한, 그룹 이름을 변경하고 싶다면 groupmod 명령어를 사용한다.
sudo groupmod -n 새그룹이름 기존그룹이름
사용자와 그룹의 관계 관리
사용자를 그룹에 추가하는 방법 (usermod -aG)
사용자를 특정 그룹에 추가하려면 usermod 명령어에 -aG 옵션을 사용한다.
sudo usermod -aG 그룹이름 사용자이름
이렇게 하면 해당 사용자가 그룹의 일원이 되어 해당 그룹의 권한을 상속받는다.
파일 및 디렉토리 권한 관리
파일 소유권 변경하기 (chown, chgrp)
파일의 소유자를 변경하려면 chown 명령어를 사용한다.
sudo chown 사용자이름 파일이름
그룹을 변경하려면 chgrp 명령어를 활용하면 된다.
sudo chgrp 그룹이름 파일이름
파일 및 디렉토리 권한 설정 (chmod)
파일의 권한을 변경하려면 chmod 명령어를 사용한다.
sudo chmod 755 파일이름
이는 소유자는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가지며, 그룹 및 다른 사용자들은 읽기와 실행 권한만 가지게 한다.
사용자 및 그룹 관리 자동화
대규모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를 하나하나 추가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크립트를 활용한 대량 사용자 생성 방법이 있다.
for user in user1 user2 user3; do
sudo useradd -m $user
echo "$user:비밀번호" | sudo chpasswd
done
이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여러 사용자를 한 번에 생성할 수 있다.
결론
리눅스에서 사용자 및 그룹 관리는 보안과 시스템 운영의 핵심 요소 중 하나다. useradd, groupadd를 활용하여 새로운 사용자 및 그룹을 추가하고, usermod, userdel, groupmod 등을 통해 수정 및 삭제할 수 있다. 또한, 파일 권한 관리와 자동화 스크립트를 활용하면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리눅스를 처음 접하는 사람이라면 이러한 명령어를 직접 실행해 보면서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제 직접 터미널을 열고 연습해 보자!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에서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하기 (0) | 2025.03.26 |
---|---|
리눅스에서 시스템에 사용자 추가 및 삭제하는 방법 (0) | 2025.03.25 |
리눅스에서 파일 권한 이해하기 (0) | 2025.03.23 |
리눅스에서 압축 파일 다루기 (zip, unzip, tar) (0) | 2025.03.22 |
리눅스에서 텍스트 파일 찾기 (grep) (0) | 2025.03.21 |